본문 바로가기

뇌 과학23

대뇌피질의 언어 생성 영역과 언어 관련 신경단절에 의한 언어장애 포유동물의 목소리는 주로 발성기관인 후두에서 생성된다. 동물의 목에는 공기 통로인 기도와 음식 통로인 식도의 두개 관이 존재한다. 구강과 기도를 연결하는 영역이 후두이며, 구강과 식도를 연결하는 영역이 인두이다. 후두의 관은 기관으로 이어져 허파로 연결되어 호흡할 때 공기가 들어오고 나간다. 혀의 뒤뿌리 이후부터 식도와 후두가 분리되는 영역까지가 인두인데, 인두에는 공기와 음식이 함께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음식이 우연히 후두로 들어갈 수 있는 구조이므로 후두에 음식물 유입을 막는 성대덮개가 존재한다. 음식을 삼키는 과정에서 자동적으로 성대덮개가 후두 구멍을 막아 폐로 음식물이 들어가는 현상을 방지해준다. 이물질이 폐로 들어가면 심각한 문제가 생기므로 포유동물은 기도의 입구에 위치하는 후두에 막을 만들.. 2022. 10. 22.
뇌와 언어 언어는 발성의 상징적 사용이다. 언어는 개인, 문화, 생물의 영역에서 작용하는 진화적 적응 과정이다. 교통 문제는 자동차와 도로와 운전자의 상호작용에서 생겨나는 현상으로, 각각의 요소를 분리하면 존재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언어도 상호작용에서 생겨나는 현상이므로 개인과 문화를 분리하면 언어의 본질은 사라진다. 그리고 언어의 발음 과정은 발성기관의 진화와 관련되므로 개별 생물 종에 따라 다르다. 언어는 발성의 상징적 사용이다. 대부분의 동물은 의사소통을 위해 상징을 사용하지 못하는데, 인간만이 언어를 통한 대규모의 상징 사용이 가능하다. 동물은 발성으로 본능적 정서를 표출하며, 인간은 발음으로 상징을 표현한다. 인간 정신 작용의 핵심적인 기능은 상징의 사용이며, 상징의 기원은 사물과 사건을 지시하는 신체작.. 2022. 10. 6.
렘수면에서는 세로토닌과 노르에피네핀 생성 뉴런의 발화가 중단된다. 렘수면에서는 뇌간의 솔기핵에서 분비되는 세로토닌과 청반핵에서 분비되는 노르에피네피린 생성 뉴런의 발화가 중단된다. 무언가를 기억하려면 반드시 그 자극에 주의를 집중해야만 하며, 뇌가 중요한 정보에 집중하면 노르에피네피린이 분비된다. 그런데 렘수면 동안에는 뇌에서 노르에피네피린이 거의 분비되지 않기 때문에 렘수면 꿈의 내용은 거의 기억되지 않는다. 낮 동안에는 주의를 집중하면 노르에피네피린이 시냅스 전막에서 분비되어 새롭고 중요한 정보가 해마와 신피질의 작용으로 부호화와 기억의 공고화 과정을 거치게 된다. 반면에 꿈에서는 노르에피네피린의 분비가 중단되어 주의집중이 힘들어지므로 꿈 내용이 기억으로 공고화 되지 않는다. 주의집중은 중요한 정보에만 전념하고 다른 정보를 차단하지만, 꿈에서는 주의가 집중되지 않는.. 2022. 10. 6.
기억과 꿈 뇌는 스스로 상태 조절의 문을 열고 닫는다. 뇌는 스스로 문을 열고 닫는다. 뇌의 상태는 신경세포가 분비하는 화학물질의 종류에 따라 바뀐다. 뇌는 낮에는 각성 상태, 밤에는 수면 상태로 작동한다. 신생아는 하루 동안 자동 스위치처럼 각성 상태와 수면 상태를 오가며, 자라면서는 낮과 밤의 주기에 따라 수면 시간이 밤에만 몰리게 된다. 수면 상태도 비렘수면과 렘수면의 두 가지 상태로 구분된다. 비렘수면은 렘수면이 아닌 수면 상태란 의미다. 하루 동안 뇌는 가성, 비렘수면, 렘수면의 세 가지 상태를 순환한다. 각성상태가 비활성화되면 뇌가 휴식하는 비렘수면 상태가 된다. 비렘수면의 3단계와 4단계는 주로 저주파의 높은 전압파인 델타파가 많이 나와서 서파수면이라 한다. 깊은 잠에 빠진 상태인 서파수면에서 다시 점.. 2022. 9. 28.